털린 내 정보 찾기를 할 수 있는 사이트를 알게 되었습니다. 2021년부터 서비스를 한 듯 보이는데 2년이나 지난 지금에서야 알게 되었어요. 이런 사이트가 있는데도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면 아직 홍보가 덜 된 듯합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엠세이퍼를 알려드리면서 언급한 적이 있는데, 이 서비스 역시 해결책이 되지는 않습니다. 예방입니다. 개인정보는 한번 유출되면 어디로 떠돌지 모르기 때문에 최대한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1.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사실 이미 털렸는데 어떻게 할 거냐 하고 생각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는 대부분의 사람이 인터넷에 가입할 때 특정한 아이디와 특정한 비밀번호를 사용한다는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저도 아이디를 몇 개만 사용하는데요, 특히 제일 많이 쓰는 아이디는 따로 있기도 합니다.
개인정보를 노리는 사람들은 이런 부분을 알고 있으니 보안이 취약한 사이트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알아낸다면 다른 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한 가지 경험담으로 스팀(steam)이라는 곳이 있는데 다양한 게임을 구입할 수 있고 관리하기도 하는 사이트입니다.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는 것을 인지하지도 못했습니다. 다만, 승인되지 않은 IP에서 접속하게 되면 2차 인증을 위해 이메일인증을 해야 하는데 스팀아이디가 이메일 아이디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밀번호가 같았다면 분명히 스팀아이디도 털렸을 것입니다. 다행히 비밀번호가 다르기 때문에 털리지 않았어요.
2.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사용방법
우선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를 검색하시면 됩니다. 귀찮으신 분들은 밑에 링크로 이동해 주셔도 됩니다. 새창에서 열리도록 링크를 걸어놨습니다. [https://kidc.eprivacy.go.kr/]
위 주소링크나 아래 그림을 클릭하시면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1)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접속
2) 개인정보수집 동의 및 사용자 이메일 인증
인증할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면 메일로 인증번호가 옵니다.
인증번호를 입력해 주고 오른쪽 2차 인증에서 체크하는 부분이 나오는데 이 부분을 체크하면 바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창이 뜹니다.
3) 유출여부 조회할 아이디와 패스워드 입력하기
한 번에 총 10개의 계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아래쪽 더 보기 버튼을 누르면 5개가 추가로 활성화됩니다.
4) 유출 결과 확인하기
이 부분을 좋아해야 할지, 아쉬워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일단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로는 유출된 내역이 없습니다. 아마도 유추하기 힘든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있어서 그런 듯합니다.
5) 웹사이트 회원탈퇴 서비스 이용하기
중요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여러 가지 관련동영상과 편리하게 조치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사이트에서도 어떤 식으로 절차가 진행되는지 친절하게 그림으로 설명되어 있으니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한 번에 10개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확인 가능한데요. 아이디와 계정이 많거나 다시 한번 확인하려고 한다면, 하루가 지나거나 다른 이메일을 사용하셔서 이용하면 됩니다.
4.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조치
이메일만 인증이 되면 가입절차가 쉬운 외국사이트와 다르게 우리나라는 실명인증을 하는 부분이 있기에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노출되면 개인정보가 같이 유출될 수도 있으며 포스팅 내용에서 잠시 언급했던 경험담처럼 2차 메일 인증도 무용지물이 될 경우가 많습니다.
같은 아이디를 사용하더라도 최대한 다른 패스워드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제 경우는 아이디 주로 사용하고 있는 아이디가 5개 정도 되며, 패스워드는 10개 정도를 돌려가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점은 오랜만에 들어가는 사이트는 아이디나 패스워드 찾기를 해야 하는 귀찮음이 있지만,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보단 낫습니다. 패스워드가 10개라고는 하지만, 기억하기 쉬운 메인으로 된 단어가 있고 그 단어에 다른 단어나 숫자를 덧붙인다던가 특정한 부분의 특수문자가 바뀌거나 추가되는 경우, 그리고 대소문자를 사용하는 경우 이런 식으로 다양하게 조합을 합니다. 사용하는 본인이 느끼기에 바뀐 부분이 얼마 되지 않아서 효과가 있을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단지 글자 하나 숫자하나 추가되는 것만으로도 뚫기 어려워집니다.
기억하기 힘들다고 패스워드를 바꾸라는 안내창을 그냥 닫거나 다음에 바꾸기를 선택하시지는 않나요? 패스워드를 적극적으로 바꾸긴 힘들어도 이런 안내창이 나온다면 꼭 바꿔주시길 바랍니다. 나의 개인정보는 소중하니까요.
'각종정보 >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과 나눔, 자선과 사회봉사의 의미와 가치 (0) | 2023.07.29 |
---|---|
음식과 문화: 다양성의 연결로 빛나는 경험 (0) | 2023.07.28 |
지식과 도덕성의 중요성 : 아인슈타인의 명언 (0) | 2023.07.26 |
디스코드 자동 접속 해제 하는 방법 3초 컷 (1) | 2023.07.19 |
엠세이퍼 명의도용방지서비스 한방에 끝내자 (0)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