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 시작되었습니다. 제일 궁금한 신청자격과 방법 그리고 기간 등 추가정보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경기도 일자리재단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에서 지난 월요일(23. 4. 24) 공지된 모집공고문 PDF파일은 아래 모집공고문 바로 보기를 통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2. 신청방법"에 참여접수 바로가기를 이용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1. 신청자격 요건
1) 접수일 기준 만 18세 이상 - 만 34세 이하 (1988. 5. 2. ~ 2005. 5. 1. 출생자)
※ 병역 의무 이행자는 기간만큼 신청연령 연장(최고 만 39세)
2) 경기도 거주자 : 접수기준일 이전 경기도에 전입신고 되어 계속 거주 중
3) 경기도 내 중소기업 재직 4대 보험 가입자(주 36시간 이상 근무)
※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재직자 제외
4) 건강보험료 3개월(2023년 2월, 3월, 4월) 평균 109,900원 이하 납부자(월 과세급여 310만 원 이하)
접수기준일(2023. 5. 1.)을 기준으로 위 4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요건을 모두 충족하더라도 다른 지원사업에 참여 중인 분은 신청이 불가할 수 있으니 모집공고문 2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모집공고문 바로 보기]
2. 신청방법
-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에서만 신청가능합니다.(PC 또는 Mobile) [참여접수 바로가기]
- 신청서 착오 기재 및 제출서류 미비 시 대상자 선정에서 제외되므로 꼭 확인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신청자 본인 외 대리인 신청은 불가능합니다.
3. 신청기간
2023년 5월 1일(월) 09:00부터 15일(월) 18:00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기간 동안 24시간 신청이 가능하며 주의사항은 마감일인 15일(월) 18:00까지 신청서 작성 및 첨부서류까지 업로드가 완료되어야 합니다.
4. 제출서류(온라인으로 파일 첨부)
주민등록초본, 4대 사회보험 가입내역확인서,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근무확인서는 반드시 접수기준일(2023.5.1.) 이후 발급된 서류를 준비해주셔야 합니다. 마음이 급해서 미리 발급받으시면 안 됩니다.
제출서류 간소화 및 편리성을 위한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동의할 경우 활용이 가능하며 미동의할 경우 일반 접수 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1) 공공 마이데이터 미동의 신청자 - 기본제출서류 8종
- 신청서(신청화면에서 작성)
- 개인정보제공동의서(신청화면에서 작성)
- [사업주 직인 발급]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 근무확인서(별도서식 - 신청 페이지에서 서식 다운로드 가능)
- 주민등록초본(주민등록번호 뒷자리, 개인 인적사항 변경 내용, 주소변동(최근 5년) 내역, 병역사항 전체 포함)
- [사업주 발급] 사업자 등록증 사본(2023.5.1. 이전 발급분 가능)
- 4대 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확인서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기준 3개월 : 2023년 2월, 3월, 4월)
- 직장가입자 개인별 건강보험료 산출내역(기준 3개월 : 2023년 2월, 3월, 4월)
- [필요시 사업주 발급] 중소기업확인서
제출 서류 발급기관 링크
- 주민등록초본 : [정부24 바로가기]
주민등록표등본(초본)교부 | 민원안내 및 신청 | 민원24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 4대 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확인서 :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바로가기]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www.4insure.or.kr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 직장가입자 개인별 건강보험료 산출내역 : [국민건강보험공단 바로가기]
국민건강보험
www.nhis.or.kr
2) 공공 마이데이터 동의 신청자 - 기본제출서류 5종
미동의 신청자 기본제출 서류 중 굵은 글씨로 표시한 1,2,3,5,8번의 제출서류만 업로드하면 됩니다. 즉 주민등록초본, 4대 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 건강보험료납부확인서는 제출 없이 신청 가능합니다.
주의하실 사항은 마이데이터 오류가 발생한 채로 서류를 제출할 경우 선정이 제외될 수 있으니 최종 제출 전 반드시 마이데이터 확인이 필요하며, 오류가 있는 경우 콜센터로 문의하여야 합니다.
5. 지원내용 및 방법
3개월 단위 60만 원씩 2년간 최대 48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이 됩니다. 따라서 3개월 단위로 자격요건을 검증하기 때문에 자격요건을 상실할 경우 지급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6. 유의사항
자세한 유의사항은 반드시 공고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으로만 접수가 가능하며 입력한 정보를 토대로 선정하게 됩니다. 부정확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제외될 수 있으니 정확하게 입력하셔야 합니다. 신청서 미제출 책임 역시 신청자에게 있기 때문에 신청기간을 반드시 숙지하시고 지켜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특히 사업 참여 이후 정부 및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유사사업에 참여가 영구히 불가할 수 있습니다.
'각종정보 >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서울청년문화패스 연20만원 신청방법 및 사용처 (0) | 2023.08.17 |
---|---|
빚 갚고 투자하는 비법! 워렌 버핏의 명언으로 배우는 재무 성공 (0) | 2023.07.22 |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 안내(2023) 신청 및 자격조건은? (0) | 2023.04.07 |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2023년도) 자격, 신청방법 바로가기 (0) | 2023.03.28 |
주식 투자 시 주의해야 할 일반적인 사항 (0) | 2023.02.22 |